에스엠 지분 15.78% 재매각 불가피
이수만 회장과 풋옵션 및 자회사 인수 논의
벌집(188,800원 ▲5,100원 2.78%)가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원 115,700 ▼ 32,100 -21.72%)) 경영권 인수 중단 발표와 함께 SM 인수전은 카카오의 승리로 끝났다. 하이브가 전 SM 총괄 프로듀서 이수만(PD)과 6000억원 규모의 매니지먼트권 확보 계약을 체결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의 에스엠 주식 인수 제안에 하이브가 화답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수만 전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가 지난달 14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몽골 비즈니스 만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연단에서 내려오고 있다. /news1
하이브는 SM 인수 절차를 중단한다고 12일 밝혔다. 하이브는 경쟁이 심화되고 연이은 인수합병으로 증시가 과열되면서 SM의 인수가가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고 판단했다. 하이브는 최근 카카오와 플랫폼 사업 협력에 대해 논의한 바 있으며, 회사 가치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인수 절차에 불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SM 측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SM은 주주, 멤버, 팬, 아티스트에게 약속한 SM 3.0 전략을 빠르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간 구체적인 플랫폼 사업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향후 에스파, NCT 등 SM 아티스트들이 하이브의 위버스 팬덤 플랫폼에 합류할 예정이다.
하이브의 SM 인수가 중단되자 전 PD와의 계약 내용에 대한 하이브의 우려가 커졌다. 하이브는 지난달 전 PD 지분 14.8%를 4228억원에 인수하는 주식양수계약을 체결하고 ▲나머지 3.6% 지분 매입권 부여 ▲전 PD(드림메이커, 드림메이커, SM브랜드마케팅) 1억 원에 인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사업에 10년간 100억 원 지급하기로 합의. 하이브는 계약 이행을 위해 추가로 1840억원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연합뉴스
이러한 계약은 SM 경영에서 물러나기로 한 하이브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다. 전 PD의 남은 지분과 자회사, ESG 사업이 하이브 자체 사업이나 SM·카카오와의 플랫폼 사업 협업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하이브는 에스엠 주식의 15%(15.78%) 이상을 소유하고 있어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신고를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카카오의 SM 지분 인수에 대해 하이브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라는 불필요한 리스크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지분율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대량매매(시간외 대량매매)는 인수신청 접수 후 6개월이 지나야 가능하다. 즉, 하이브와 카카오는 교환이나 인수합병을 제외하고는 서로의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없다. 하이브가 카카오의 인수 제안에 응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이번 카카오와 하이브의 협약에는 기존 하이브와 전 PD 사이에 실질적인 연대는 없었다고 한다. 하이브는 전 PD와 계약 조건을 놓고 추가 협상을 벌이는 한편, 전 PD가 사들인 코코아 지분도 되매각할 예정이다.
SM 지분 매각 가능성에 대해 하이브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 하지만 SM 인수 절차를 결정한 만큼 현명한 판단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남은 SM 지분 3.6%의 매수청구권은 전 PD에게 있기 때문에 청구 여부는 전 PD의 판단에 달려있다. 전 PD와의 길이기 때문에 전 PD와의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본 기사 보기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3/03/13/2VZVYKWUHVFZBGLHFLIF3QR7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