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카드 전국호환교통카드 발급 (ft.지하철무료기능)

오늘은 장애인을 위한 복지 콘텐츠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교통기능이 있는 장애인 교통복지카드입니다.

복지카드는 등록장애인의 혜택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소개된 이 카드가 있어야 할인과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교통 기능이 연동되지 않아 창구에서 직접 무료 승차권을 발권해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장애인과 장애인 공동 홍보를 통해 이용 편의성을 고려해 2023년 4월부터 교통기능(지하철)을 추가한 카드를 발급할 예정이다.


1. 기존 장애인복지카드 알아보기

기존 장애인복지카드는 금융기능(체크, 신용·하이패스) 여부에 따라 4가지로 나뉜다. 지역별로는 서울·인천·충남·부산·대구·광주만 신한카드와 협약을 맺고 교통기능이 탑재된 카드를 발급받았다.

  • 재무 기능이 없는 식별 유형
  • 금융기능이 있는 금융카드형
  • 하이패스 기능이 있는 일체형 카드형
  • 하이패스 기능이 없는 심플한 복지카드 타입

2. 장애인복지교통카드 대상 및 혜택

2023년 4월부터 금융기능이 있는 복지카드를 발급받으시면 아래와 같은 혜택을 드립니다.

무료 교통 기능이 있는 카드는 전국적으로 발급이 가능하며, 전국 어디서나 지하철을 무료로 탈 수 있습니다.

이는 전국적으로 호환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원 조건 : 만 19세 이상 지원 가능, 체크 또는 크레디트 중 택1 가능

3. 지역별 장애인복지교통카드 신청기간 안내

  • 2023년 4월 신규 신청 온라인 교통기능이 있는 카드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 기존의 신분증 종류 -> 금융카드 종류에서로 교체 가능
  • 신청 폭주 및 발급 지연 방지를 위해 신청 기간은 각 지역마다 다릅니다.하다.

– 2023년 4월 1일부터: 서울, 인천, 충남, 부산, 대구, 광주

– 2023년 5월 1일부터 : 울산, 세종, 전북 경북, 제주

– 2023년 6월 1일부터 : 대전, 강원, 충북, 전남, 경남

– 2023년 7월 1일부터: 경기

서울, 인천, 충남에서 발급된 금융카드 종류가 있다면 재발급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현재 가지고 계신 카드로도 전국 호환이 가능합니다. 단, 그 외 지역에서는 재발급을 신청하거나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교체 또는 신규 발급을 잊지 않도록 해당 지역의 날짜를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신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읍면동주민센터 또는 복지도로 콜센터 (129)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