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한공주, 영화 ‘글로리’ 흥행 추천

한공주

요즘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의 흥행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영화 <영광>을 보고 떠오른 한공주 영화입니다.

2014년 개봉한 이 영화는 천우희 단독 주연이다. 더 글로리는 학교 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복수를 추구하지만, 여기서는 폭행 이후 피해자의 삶을 반영한다. 저도 피해자지만 피해자가 숨어야 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불편하고 마음이 아픈 장면들이 있는데 매일매일 뉴스에서 하는 얘기를 들으면 현실에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만들 가치가 있는 영화인가? 생각조차 하게 만든다

수상작


2014년 4월 영화관에서 개봉했는데 영화관에서는 그다지 흥행하지 못했다. 소재가 상당히 무거워서인지 감독의 연출과 주인공 한공주를 연기한 주인공 천우희가 많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오랫동안 눈독을 들이던 신인이 단독 주연으로 등장하는데 모두가 신인상을 수상하지 않을까요? 연기였습니다.

2015년

  •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신인여우상)
  • 2. 들꽃영화상 (대상, 여우주연상)
  • 10. 맥스무비 최우수영화상(여우상, 독립영화상)
2014년

  • 제35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신인감독상
  • 제3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각본상, 여우주연상
  • 제47회 시체스영화제 (Nobs Vision Official – Best Film Award)
  • 제14회 디렉터스 컷상 (올해의 신인여우상, 올해의 독립영화 감독상)
  • 제18회 판타지아영화제 (관객상-베스트아시아(은상))
  • 제28회 프리부르국제영화제 (대상, 에큐메니칼 심사위원단상)
  • 제16회 도빌아시아영화제(심사위원상, 비평가상, 관객상)
  • 제43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호랑이상)
2013년

  • 제13회 마라케시국제영화제 (대상(금성상))
  • 제39회 서울독립영화제 (열혈직원상)
  •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시민평론가상, CGV아트하우스상)

요약

한공주(천우희 분)는 고향을 떠나 먼 곳으로 이사를 간다. 어려운 일(소송)이 있는 것 같아서 선생님 댁에 머물게 되고, 선생님의 어머니인 조여사님이 마음에 들지 않으시지만 그래도 착한 공주님과 잘 지내기로 합니다.

음악을 좋아했지만 지금은 음악과 사진을 기피하고, 새 여자친구와 대화할 때도 마음을 열지 않는다. 이혼한 어머니를 찾아가지만 재혼남 앞에서 남 취급을 당하고 아버지는 청원서에 공주의 서명을 받아 돈을 받는다.

전학 전 공주는 화옥의 절친, 화옥의 남자친구, 학교 폭력배들에게 왕따를 당하던 아이였고, 집안 청소를 자주 하던 아버지 때문에 공주의 집은 화옥과 동이의 집이 되었다. 은신처.혜연 . 그러던 중 동현을 괴롭히는 조폭들이 공주의 집으로 몰려와 공주의 집으로 찾아온다. 어느 날 공주에게 약을 먹이라는 명령을 받은 동현이 공주에게 소리를 지르자 일린 아이들은 공주가 유혹당하는 장면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공주의 아버지가 제시간에 도착하자 모두가 놀란다.

이 사건 이후 화옥은 익사했고 공주는 전학을 가야 했다.

사건과 관련된 절차가 진행 중인데, 가해자의 부모가 공주에게 찾아와 성추행한다. 공주의 아버지가 받은 탄원서는 공주의 아버지가 공주가 아닌 가해자를 변호하는 탄원서를 작성했고 돈을 받기 위해 공주의 서명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인터넷에는 공주의 영상이 돌고 있다.

공주의 일상은 엉망이 되고 공포에 떨게 된다. 공주님 영상을 본 친구들도 놀라고…

공주는 파출소 관리인에게 말을 건다. “그런데 아저씨. 사과를 받을 텐데 왜 도망쳐야 하죠?”

그리고 공주는 열심히 수영을 배웁니다. 그녀가 수영을 배우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이유를 영화로 보세요.

피해자는 숨길 수밖에 없고, 가해자는 오만하고 파렴치하며, 일부는 자신이 한 일을 기억조차 못하는 사회. 영광 대사는 가해자가 가족이고, 공주님 가해자도 가족이라고 합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소식을 듣고 많이 놀랐던 영화입니다.

영광의 동은이 있었다면 공주님의 원수를 갚고 싶을 정도다. 그러나 영화는 매우 잔잔하고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흘러간다. 공주가 침착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것처럼. 그래서 더 안타깝고 가슴 아픈 것 같습니다. 내 고통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영화 <영광>을 보고 떠오른 한공주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