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달나라로 가자


장류진 소설 ‘달나라로 가다’ 표지

(달나라로 가요)는 장류진의 첫 장편소설이다. 이전에 읽은 단편소설(일의 희로애락)은 꽤 충격적이었습니다. 신선했다. 콘텐츠마다 소재가 다양하고 깔끔한 문체가 돋보였다. 솔직하고 애틋한 표현이 좋았다. 나는 다음 책을 기대하고 있었다. 후속편은 장편소설(달나라로 가보자)이다. 단편소설을 잘 쓰는 작가로서 이 책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기대로 책을 펼쳤다.

내가 어떻게 달에 갈 수 있니?

소설(달나라로 가자)의 주인공은 세 명의 여성 직장인이다. 이야기의 중심 주제는 당시 뜨거웠던 가상화폐다. 주인공 ‘나’와 은상언니, 지송이는 회사에서 하루 중 가장 긴 시간을 함께 보낸다. 주인공 ‘나’는 친구들보다 훨씬 더 가깝고 소통이 잘 된다고 느낀다. 사건은 은상 언니가 암호화폐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시작된다. 운좋게 급상승 이벤트에 탑승한 언니는 같은 흙수저 유형이라고 생각하는 두 동료인 저와 지송이를 함께 탑승시키고 싶어합니다. 이들이 탄 암호화폐 열차가 과연 달에 갈지, 아니면 무너질지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가 펼쳐졌다.

나는 어디로 가는가

가상화폐에 투자한 주인공 ‘나’는 나날이 늘어나는 금액을 보며 조금 더, 조금 더 외친다. 늘어난 가상화폐 계좌를 보며 그는 “사실 나에게 주어진 가용 자원은 늘지 않았다. 그래도 ‘나’는 내 삶이 확실히 풍요로워졌다고 느꼈다. 이것만으로도 정말 은상언니 말대로 ‘조금부자’가 된 기분이었다. 가상 화폐 임에도 불구하고 내 통장 잔고처럼 여겨졌다. 만일의 경우에 내가 언제든 꺼낼 수 있는 돈이 400만 원이라고 생각하면 4000만 원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이겼다고 생각했을 때와 기본적인 마음가짐이 달랐다. 그런 태도가 내 인생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이 부분에서 작가님이 꽤 꼼꼼하고 섬세하게 느껴졌다.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절대 모를 마음가짐의 차이를 지적하는 것에 대해.

제법 돈을 번 은상이 초대한 여행에 은상을 동행하면서 마음 한구석이 조금 불편했는데 그 이유를 알 것 같다. 새로 지은 7성급 호텔의 모든 것이 마음에 들고 만족도가 높을수록 다른 감정도 동시에 높아집니다. 즉, 땅 밖으로 나온 줄기가 길수록 땅속의 뿌리도 비례해서 더 깊게 자라는 것과 비슷했다. 하지만 ‘나’는 어느 정도 부자가 된 은상을 따라다닐 뿐, 아직 7성급 호텔에 올 여유가 없었다. 하지만 ‘나’는 이미 이 안락함과 고급스러움이 좋았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인생이 빛날수록 주인공인 ‘나’는 전생을 이어갈 수 없다고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결말

은상언니, ‘나’, 지송은 처음 만난 사이 가장 밝고 건강한 표정으로 웃었다. 너무 이상했다. 사실 거의 변한 것이 없습니다. 은상언니는 사표를 냈지만 같은 회사에서 계속 일했고, 두 사람 모두 올해 평가에서 ‘합격’ 등급을 받았다. 그리고 나는 여전히 5평, 6평, 9평 원룸에 살고 있었다. 구내식당에서 가끔 전주식 콩나물국, 가락국수를 곁들인 돈까스정식, 라면이 무한리필인 김치찌개를 먹었다. 때때로 나는 케이크 한 조각을 사거나 설탕에 절인 핫도그를 먹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1월 8일 이후, 그들이 사는 세상이 완전히 달라진 것처럼 느껴졌다. 그야말로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변화였다. 세 사람의 얼굴에 비슷하게 고인 알 수 없는 광채만큼.

(Let’s go to the moon)은 300페이지가 넘는 제법 두꺼운 책이다. 그래도 단숨에 읽었다. 책장을 넘길수록 그 다음이 궁금하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세련되게 직접적이었고 우울할 정도로 현실적이었습니다. 나에게 경제적 자유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회사원의 로망, 그리고 그 이후의 선택을 상상하게 했다. 결론이 긍정적이어서가 아니라, 그 이후에도 이야기가 계속해서 상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좋았다.